주요 개념
4) 가치의 조건화
로저스의 성격 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 ‘가치의 조건화’다. 로저스가 경험은 나에게 최고의 권위다. 라고 말한 것처럼 우리 각자는 경험을 통해 가치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연약한 존재로서 아동은 그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가치의 조건화를 형성한다.
아동은 기본적 욕구인 ‘긍정적 자기 존중’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자기 존중 때문에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가치의 조건화는 유기체가 경험을 통해 실현화 경향성을 성취하는 것을 방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왜냐하면 가치의 조건화는 아동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동은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받기를 원한다. 부모는 자신의 판단에 따라 아동에게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정해 놓는다.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것을 할 때만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게 되고 착한 아이가 된다. 부모가 원하지 않는 것을 하면 나쁜 아이가 된다. 나쁜 아이가 되는 것은 긍정적 자기 관심을 얻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아동은 나쁜 아이가 되지 않기 위해 자기가 경험하는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부모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기 위해 자기가 하는 경험에 폐쇄적으로 되어 실현화 경향성을 방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치의 조건화는 아동이 하는 주로 눈에 보이는 행동, 외적 준거에 따라 아동을 평가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기 위해 자기 의지와 관계없이 겉으로 최선을 다하는 꼴이 된다. 따라서 아동은 착한 아이가 되기 위해 내적 경험을 무시하게 된다. 껍데기는 번지르르할지 모르지만 썩어가게 된다. 이것은 우리가 모든 경험에 개방적으로 되어 인간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방해하게 한다. 인간중심 접근에서 강조하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만든다. 우리가 독특한 존재로서 자기 성장을 이루지 못하게 한다. 이런 점에서 당신이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는 끊임없이 당신이 성숙한 인간이 되는 것에 주요한 방해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갈등, 불안, 공포 등의 정서적 문제도 가치의 조건화와 관련되어 있다. 내사된 가치의 조건화로 인해 긍정적 자기 존중받으려는 욕구는 그것에 반하는 어떤 경험을 회피하고 왜곡하고, 부정해 왔다. 이러한 가치의 조건화에 따른 행동은 실현화 경향성을 이루려는 유기체의 경험과 마찰하게 된다. 이런 마찰은 위협으로 느껴지며 갈등과 불안을 야기한다.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주입된 이러이러한 행동을 하면 나쁜 아이라는 가치의 조건화가 실존적 존재로서 주관적인 내적 경험과 불일치를 이루게 된다. 이런 불일치는 긍정적 자기 존중을 잃지 않을까 하는 위협으로 느껴지고 불안과 두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상담 목표
인간중심 치료는 문제해결과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이 인간중심이라는 기본가정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누구나 유기체로서 실현화 경향성을 발현시킬 수 있고 현상적 장에서 독특한 실존적 존재로서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가정도 인간중심 치료의 기본적인 철학적 신념에 근거한다. 유기체의 경험이나 독특한 존재로서 자기 경험을 왜곡하고, 회피하고, 부정하게 만든 주요한 원인이 가치의 조건화라 할 수 있다. 성인으로서 당신이 아동을 대하는 태도로 인해 그가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가 만약~하면 그러면~한다. 는 가정하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신이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만약 네가 공부를 잘하면 그러면 나는 너를 좋아한다.’는 식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칭찬이나 비난받게 되어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인간중심 치료는 이렇게 형성된 가치의 조건화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도 마찬가지로 ‘만약~하면 그러면~한다.’는 가정으로 풀 수 있다고 확신한다. 지금까지 성인이 아동의 실현화 경향성 혹은 유기체의 지체를 믿지 않는 태도, 아동의 행동에 따라 조건적으로 대하는 태도, 아동의 내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태도가 문제의 원이 되었다고 본다. ᄄᆞ라서 내담자의 문제해결과 변화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유기체의 지혜를 신뢰하는 인간 중심적 태도다. 조러스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가져야 할 필요 충분한 세 가지 인간 중심적 태도로서 일치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제시하였다.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상담 관계를 '만약~하면,~한다.'는 가정으로 표현하면 '만약 상담자가 일치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내담자에게 보여 주면, 그러면 내담자는 변화한다.'는 것이 된다. 이렇게 가정에 대입된 문장으로 간략히 표현된 내용을 생각하면 상담이 굉장히 쉽게 여겨질 수 있다. 실지로 많은 상담자가 여러 가지 상담기법을 강조하는 다른 상담 접근보다 상담의 필요충분조건으로서 상담자의 세 가지 태도를 강조하는 인간중심 접근을 용이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또한 이러한 상담의 필요충분조건을 쉽게 여겨서인지 많은 초보 상담자들이 자신의 상담 접근으로 인간중심 접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적지 않는 상담 경험을 가진 필자로서 감히 말한다면 인간중심 접근에서 강조하는 상담자가 가져야 할 세 가지 태도가 그렇게 쉽게 획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많은 상담자가 언뜻 생각하기에 인간중심 접근을 쉽게 생각했다가 많은 훈련에도 불구하고 쉽지 않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따라서 필자는 초보 상담자들에게 웃고 접근했다가 울고 나오는 상담 접근이 인간중심 접근이라고 말하곤 한다. 이것은 인간중심 접근을 사용하는 상담자가 단순히 상담기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를 대하는 근본적인 태도가 변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 노안영 저]
4) 가치의 조건화
로저스의 성격 형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 ‘가치의 조건화’다. 로저스가 경험은 나에게 최고의 권위다. 라고 말한 것처럼 우리 각자는 경험을 통해 가치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연약한 존재로서 아동은 그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가치의 조건화를 형성한다.
아동은 기본적 욕구인 ‘긍정적 자기 존중’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 자기 존중 때문에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가치의 조건화는 유기체가 경험을 통해 실현화 경향성을 성취하는 것을 방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왜냐하면 가치의 조건화는 아동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동은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받기를 원한다. 부모는 자신의 판단에 따라 아동에게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정해 놓는다.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것을 할 때만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게 되고 착한 아이가 된다. 부모가 원하지 않는 것을 하면 나쁜 아이가 된다. 나쁜 아이가 되는 것은 긍정적 자기 관심을 얻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아동은 나쁜 아이가 되지 않기 위해 자기가 경험하는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부모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기 위해 자기가 하는 경험에 폐쇄적으로 되어 실현화 경향성을 방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가치의 조건화는 아동이 하는 주로 눈에 보이는 행동, 외적 준거에 따라 아동을 평가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긍정적 자기 존중을 받기 위해 자기 의지와 관계없이 겉으로 최선을 다하는 꼴이 된다. 따라서 아동은 착한 아이가 되기 위해 내적 경험을 무시하게 된다. 껍데기는 번지르르할지 모르지만 썩어가게 된다. 이것은 우리가 모든 경험에 개방적으로 되어 인간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방해하게 한다. 인간중심 접근에서 강조하는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을 왜곡하고 부정하게 만든다. 우리가 독특한 존재로서 자기 성장을 이루지 못하게 한다. 이런 점에서 당신이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는 끊임없이 당신이 성숙한 인간이 되는 것에 주요한 방해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갈등, 불안, 공포 등의 정서적 문제도 가치의 조건화와 관련되어 있다. 내사된 가치의 조건화로 인해 긍정적 자기 존중받으려는 욕구는 그것에 반하는 어떤 경험을 회피하고 왜곡하고, 부정해 왔다. 이러한 가치의 조건화에 따른 행동은 실현화 경향성을 이루려는 유기체의 경험과 마찰하게 된다. 이런 마찰은 위협으로 느껴지며 갈등과 불안을 야기한다. 의미 있는 대상으로부터 주입된 이러이러한 행동을 하면 나쁜 아이라는 가치의 조건화가 실존적 존재로서 주관적인 내적 경험과 불일치를 이루게 된다. 이런 불일치는 긍정적 자기 존중을 잃지 않을까 하는 위협으로 느껴지고 불안과 두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상담 목표
인간중심 치료는 문제해결과 변화의 필요충분조건이 인간중심이라는 기본가정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누구나 유기체로서 실현화 경향성을 발현시킬 수 있고 현상적 장에서 독특한 실존적 존재로서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담을 통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가정도 인간중심 치료의 기본적인 철학적 신념에 근거한다. 유기체의 경험이나 독특한 존재로서 자기 경험을 왜곡하고, 회피하고, 부정하게 만든 주요한 원인이 가치의 조건화라 할 수 있다. 성인으로서 당신이 아동을 대하는 태도로 인해 그가 형성한 가치의 조건화가 만약~하면 그러면~한다. 는 가정하에서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신이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만약 네가 공부를 잘하면 그러면 나는 너를 좋아한다.’는 식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은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칭찬이나 비난받게 되어 가치의 조건화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인간중심 치료는 이렇게 형성된 가치의 조건화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도 마찬가지로 ‘만약~하면 그러면~한다.’는 가정으로 풀 수 있다고 확신한다. 지금까지 성인이 아동의 실현화 경향성 혹은 유기체의 지체를 믿지 않는 태도, 아동의 행동에 따라 조건적으로 대하는 태도, 아동의 내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태도가 문제의 원이 되었다고 본다. ᄄᆞ라서 내담자의 문제해결과 변화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유기체의 지혜를 신뢰하는 인간 중심적 태도다. 조러스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가져야 할 필요 충분한 세 가지 인간 중심적 태도로서 일치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제시하였다.
내담자의 변화를 위한 상담 관계를 '만약~하면,~한다.'는 가정으로 표현하면 '만약 상담자가 일치성,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태도를 내담자에게 보여 주면, 그러면 내담자는 변화한다.'는 것이 된다. 이렇게 가정에 대입된 문장으로 간략히 표현된 내용을 생각하면 상담이 굉장히 쉽게 여겨질 수 있다. 실지로 많은 상담자가 여러 가지 상담기법을 강조하는 다른 상담 접근보다 상담의 필요충분조건으로서 상담자의 세 가지 태도를 강조하는 인간중심 접근을 용이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또한 이러한 상담의 필요충분조건을 쉽게 여겨서인지 많은 초보 상담자들이 자신의 상담 접근으로 인간중심 접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적지 않는 상담 경험을 가진 필자로서 감히 말한다면 인간중심 접근에서 강조하는 상담자가 가져야 할 세 가지 태도가 그렇게 쉽게 획득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많은 상담자가 언뜻 생각하기에 인간중심 접근을 쉽게 생각했다가 많은 훈련에도 불구하고 쉽지 않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따라서 필자는 초보 상담자들에게 웃고 접근했다가 울고 나오는 상담 접근이 인간중심 접근이라고 말하곤 한다. 이것은 인간중심 접근을 사용하는 상담자가 단순히 상담기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를 대하는 근본적인 태도가 변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 노안영 저]
'상담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치료(1) (0) | 2022.09.27 |
---|---|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4) (1) | 2022.09.23 |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2) (0) | 2022.09.22 |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1) (2) | 2022.09.22 |
행동치료(3) (0) | 2022.09.22 |
댓글